안구 건조증 기본적인 치료는 어떻게 하는가?
안구건조증이란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해 생기는 질환입니다.
보다 쉽게 말하면 눈의 윤활제와 같은 눈물이 마르거나 흐르지 않아 눈(안구) 표면이 쉽게 손상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쁘거나 슬플 때 혹은 눈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나오는 반사적인 눈물과 항상 일정한 양이 분비되어 눈 표면을 촉촉하게 적셔주며 영양물질, 윤활물질, 항균물질 등을 공급하여 주는 기본적인 눈물이다.
안구 건조증 환자들은 이러한 눈물 가운데 기본적인 눈물이 흐르지 않거나 부족하여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눈에 이물감, 건조감 등을 일으킨다.
안구 건조증은 주로 체력이 떨어진 노약자들이나 40대이후 갱년기의 여성들, 과로 피로가 누적된 중년층에서 나타난다.
그 이유는 나이가 들어 노화하면서 눈물분비가 감소하기 때문이며, 호르몬 분비 변화가 심한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한다.
그 외에도 안면신경마비, 류마티스성 질환, 교원섬유질환 등에서 생길 수 있고, 스트레스, 실내습도, 환경오염 등과도 관련이 있어 최근에는 젊은 층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특히 콘택트렌즈를 장기 착용하거나,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고, 운전을 오래하는 경우 더욱 심해지며, 담배연기에 예민해지거나 책이나 TV를 볼 때 눈이 침침해지기도 한다. 또한 에어컨이나 온풍기 등의 바람이 직접 눈에 닿을 경우 눈물층의 증발이 촉진되어 증상이 더욱 심해진다.
가장 기본적인 치료는
모자라는 눈물을 외부에서 인공눈물로 넣어주는 것이다.
인공눈물 사용시 주의해야 할 점은 수시로 규칙적으로 넣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공눈물은 우리의 눈물과 가장 비슷하게 만든 것으로, 인체에 해가 없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는 것에는 특별히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너무 장기적으로 사용하게 되거나 자주 넣게 되는 경우는 방부제 없는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약물요법과 함께 환경을 습하게 만들어 주면
눈물의 증발이 줄어들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
가습기 등을 틀어주거나 실내온도를 조금 낮춰 적당한 습도조절을 해 주면 좋다. 머리염색제, 헤어드라이어, 스프레이 등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눈의 위생에 신경 쓰고, 책이나 컴퓨터, TV 등 장시간 작업을 할 경우에는 중간에 틈틈이 눈을 쉬게 해야 한다. 자기 전에 눈 주위를 찜질해 주는 것도 좋은 생활습관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효과를 보지 못하면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한다.
기본 원리는 눈물이 눈을 씻어 주고 나서 빠져나가는 구멍인 누점을 막아서 조금 더 많은 눈물이 눈에 머물게 해주는 것이다.
눈물관에 특수물질로 된 마개를 삽입하여 눈물배출을 막는다.
즉 적게 나오는 눈물이나마 빨리 배출되지 않고 오래 유용하게 사용하고자 실리콘으로 만든 마개를 눈물관에 삽입하는 것으로, 최근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방법이다. 특히 최근에는 눈물관을 막기 전에 시험적으로 2주 정도 지속되는 콜라겐으로 만든 물질을 눈물관에 넣고 막아보아 부작용이 없고, 환자가 만족하면 영구적으로 막고 있다. 눈에 자극이 거의 없고, 원할 경우 마개를 나중에 제거할 수도 있으며, 부작용이 거의 없는 것이 장점으로 환자들이 느끼는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