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은 튼튼하게 피를 맑게 만드는 음식
현관을 튼튼하게 하는 물질 있고
음식이 혈관을 깨끗하게 해 주고
혈관 막힘을 예방해주며
혈관의 굳어지는 것을 예방해주는
효능이 있는 음식을 살펴 보겠습니다.
1) 두부는 고지혈증을 예방한다.
두부는 식물성 단백질과 리놀레산이 풍부하며 콩을 물에 담갔다가 갈아 그 액을 가열하여 비지를 짜내고 응고제를 첨가하여 굳힌 식품이다.
리놀레산은 혈액 안에 들어 있는 응어리진 지방을 녹여 고지혈증을 예방하는 영양분. 막힌 혈관을 뚫는 기능이 뛰어나 한의학에서는 뇌졸중에 두부 습포를 했을 정도라고 한다.
고혈압 환자들은 두부를 날로 차게 해서 먹으면 좋다.
2) 당근은 혈액의 응고를 막는다.
당근은 주홍빛 색을 가진 당근은 식재료로써 다양한 쓰임새는 물론 캐릭터로도 활용될 정도로 친숙한 채소이다.
당근에 들어 있는 비타민 C, 카로틴, 비타민 E가 혈관이나 조직을 산화시키는 활성 산소의 활동을 막아 깨끗하고 탄력 있게 혈관을 유지한다.
아침마다 사과 반 개와 당근 한 개를 함께 갈아 주스를 만들어 마시면 맛도 좋고 혈액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3) 부추는 묵은 피를 걸러준다.
부추는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은 시고 맵고 떫다.
부추는 궂은 피를 내보내고 새로운 피로 혈관을 채우는 작용을 한다.
부추에는 유화아릴이라는 자극 성분이 있어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고 혈액 순환을 활발하게 한다.
4) 생강은 혈액의 길을 뚫어준다.
생강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는 식용과 약용으로 쓰인다.
생강은 강한 방향 성분이 혈액 순환을 촉진해 찌꺼기들로 막히고 좁아졌던 혈관을 뚫어준다.
생강차를 마시면 온몸에서 땀이 나면서 열이 내려가는 것도 혈액의 이런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또 생강이나 마늘처럼 향이 강한 야채들은 혈소판의 응집을 막아 심근경색이나 뇌경색 등을 예방한다.
5) 검은깨는 혈관과 조직의 산화를 막는다.
검은깨에 포함된 항산화 물질 중 세사미놀과 세사민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깨끗한 혈액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중에서도 블랙 푸드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검은 깨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은깨는 가루를 내었다가 선식이나 우유에 타 먹으면 고소함이 더해져 맛도 좋고 영양도 훨씬 좋아진다.
6) 꽁치는 콜레스테롤을 녹인다.
꽁치는 동갈치목 꽁치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꽁치나 고등어 같은 등푸른 생선에 들어 있는 불포화 지방산은 응고된 콜레스테롤을 녹이고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데 탁월해 심장 질환 예방에 그만이다.
조리할 때 구우면 불포화 지방산이 많이 유실되므로 조림을 해서 먹는 것이 좋다.
7) 다시마는 혈액의 독소를 빼낸다.
다시마는 갈조강 다시마목 다시마과의 한 속이다.
해조류에 많은 요오드는 신진 대사를 높이고 혈액의 독성을 뽑아내는 무기질이다.
각종 인스턴트 식품으로 인해 혈액에 녹아든 독성을 해독하므로 인스턴트 식품을 많이 먹는 청소년들에게 특히 좋다.
혈관이 빨리 노화되는것을 방지하려면
혈관을 깨끗하게 해주고 보호해주는 음식 많이 챙겨 먹고
미리미리 건강하게 혈관을 관리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