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적인 예법에서 남성과 여성의 절하는 방식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남자는 계수배, 돈수배, 공수배 등의 절을 하며, 여성은 숙배, 평배, 반배 등의 절을 합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절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남자의 절
① 남자의 큰절: 계수배
- 1. 공수하고 대상을 향해 선다.
- 2.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는다. (손을 벌리지 않는다.)
-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 4. 오른쪽 무릎을 왼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 5. 왼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 6.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댄다.
- 7.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다.
- 8.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운다.
- 9.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오른쪽 무릎 위에 얹는다.
- 10. 오른쪽 무릎에 힘을 주며 일어나서 왼쪽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② 남자의 평절: 돈수배
- 큰절과 동일한 동작이지만, 6번에서 이마를 손등에 닿는 즉시 7번 동작으로 이어 일어나는 것이 차이점이다.
③ 남자의 반절: 공수배
- 큰절과 같은 동작을 따르지만, 다음 부분이 생략된다.
- - 5번: 뒤꿈치를 벌리며 깊이 앉는 동작
- - 6번: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손등에 대는 동작
- - 7번: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떼는 동작
- 무릎을 꿇고 손을 바닥에 대고 엎드린 후 바로 일어나는 절이다.
④ 임금에게 하는 고두배
- 공수한 손을 풀어 두 손을 벌려 바닥을 짚는다.
- 이마로 바닥을 세 번 두드리는 절을 고두배라고 한다.
- 현재는 임금이 없으므로 고두배를 하지 않는다.
절의 종류와 절하는 대상 및 절하는 요령
절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예법으로, 대상과 상황에 따라 절의 종류와 방식이 다릅니다. 남성과 여성의 절하는 방법이 다르고, 상대방의 연령과 관계에 따라 적절한 절의 형태가 정해집니다. 아
health-ok.tistory.com
2. 여자의 절
① 여자의 큰절: 숙배
- 1. 공수한 손을 어깨 높이로 수평이 되게 올린다.
- 2. 고개를 숙여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붙인다.
-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 4. 오른쪽 무릎을 왼쪽 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 5. 오른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깊이 앉는다.
- 6. 윗몸을 반(45도)쯤 앞으로 굽힌다.
- 7.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킨다.
- 8.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운다.
- 9. 일어나면서 왼발을 오른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 10. 공수한 손을 원위치로 내리며 고개를 반듯하게 세운다.
② 여자의 평절: 평배
- 1. 공수한 손을 풀어 양옆으로 자연스럽게 내린다.
- 2.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 3. 오른쪽 무릎을 왼쪽 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 4. 오른쪽 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깊이 앉는다.
- 5.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 손끝이 바깥을 향하게 무릎과 가지런히 바닥에 댄다.
- 6. 윗몸을 반(45도)쯤 앞으로 굽히며 두 손바닥을 바닥에 댄다.
- 7.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킨다.
- 8.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며 손끝을 바닥에서 뗀다.
- 9. 공수하고 왼자세를 취한다.
③ 여자의 반절: 반배
- 평절의 동작을 간략화한 절이다.
- 대상이 많이 낮은 경우 앉은 채로 두 손을 바닥에 짚는 동작만으로 답배할 수 있다.
3. 남자와 여자의 절 동작 비교
구분 | 절의 종류 | 특징 |
---|---|---|
남자 | 큰절 (계수배) | 이마를 손등에 붙이고 깊이 숙이며, 엉덩이가 들리지 않도록 주의 |
남자 | 평절 (돈수배) | 큰절과 동일하지만 머물러 있지 않고 바로 일어남 |
남자 | 반절 (공수배) | 엉덩이를 깊이 앉지 않고 허리를 숙였다가 바로 일어남 |
여자 | 큰절 (숙배) | 손을 어깨 높이로 들고, 이마를 손등에 붙인 상태로 45도 숙임 |
여자 | 평절 (평배) | 손을 바닥에 가지런히 대고 윗몸을 숙였다가 바로 일어남 |
여자 | 반절 (반배) | 앉은 상태에서 손을 바닥에 짚는 간략한 절 |
절은 단순한 예법이 아니라 상대방에 대한 존경과 공경의 표시입니다. 올바른 절의 방법을 숙지하고 실천하여 바른 예절을 실천해 보세요.
예절의 의미와 중요성, 실천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
예절은 단순한 격식이 아닙니다. 우리 사회를 유지하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기 위한 중요한 약속입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빠른 변화와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해지면서 예절의 필요성이
health-ok.tistory.com
FAQ 자주하는 질문
Q1. 남자와 여자의 절하는 방법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A. 남성과 여성의 절하는 방식이 다른 이유는 전통적인 예법과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남자는 상대적으로 깊이 숙이는 계수배, 돈수배, 공수배를 사용하며, 여자는 보다 우아한 동작을 강조하는 숙배, 평배, 반배를 합니다.
Q2. 남자의 반절(공수배)과 여자의 반절(반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남자의 반절(공수배)은 무릎을 꿇고 엉덩이에서 머리까지 수평을 유지한 채 엎드렸다가 일어나는 방식입니다. 반면, 여자의 반절(반배)은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가볍게 손을 바닥에 짚는 방식으로 간략하게 이루어집니다.
Q3. 절을 할 때 손의 위치와 동작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절을 할 때 손의 위치와 동작은 예법의 정확성과 공경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손을 바르게 공수하고 바닥에 짚는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예절을 지키는 기본입니다.
Q4. 여자의 큰절(숙배)에서 허리를 45도만 숙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여자의 큰절(숙배)에서 머리를 깊이 숙이지 않는 것은 전통적으로 머리 장식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과거에는 머리에 장식을 얹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절을 할 때도 이를 고려하여 동작이 설계되었습니다.
Q5. 절의 동작 중 '공수'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A. 공수(拱手)는 손을 가지런히 모아서 예의를 갖추는 동작을 의미합니다. 절을 하기 전 손을 정중하게 모으고 절을 시작하는 것이 공경의 표현입니다.
Q6. 절을 받은 사람이 답배를 해야 하는 경우와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A. 절을 받은 사람이 반드시 답배를 해야 하는 경우는 아랫사람이 성인인 경우입니다. 반면, 부모님, 스승, 국왕 등에게는 맞절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