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철분과 엽산이 풍부하여 빈혈과 치매 예방에 효과적인 식재료는?

by 파파리아 2021. 4. 2.
반응형

철분과 엽산이 풍부하여 빈혈과 치매 예방에 효과적인 식재료는?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식재로 이며 자주 먹는 반찬 재료이기도 한답니다.
시금치는 비타민, 철분, 식이섬유 등 각종 영양 성분이 다량 함유된 녹황색 채소로 성장기 아이들, 여성과 임산부, 노인 등 남녀노소 모두에게 유익한 식재료이다.
시금치는 3대 영양소뿐 아니라 수분, 비타민, 무기질 등을 다량 함유한 완전 영양 식품이다. 


● 시금치 효능 및 영양성분

- 시금치는 철분과 엽산이 풍부하여 빈혈과 치매 예방에 효과적이다.
- 시금치의 엽산은 뇌 기능을 개선하여 치매 위험을 감소 된다.
- 세포와 DNA 분열에 관여해 기형아 출생 위험을 낮춰준다.

- 시금치의 붉은색 뿌리에는 인체에 해로운 요산을 분해하여 배출시키는 구리와 망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잎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 마그네슘이 풍부해서 코티졸 호르몬 수치를 조절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 마그네슘은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당뇨병 개선에 도움이 된다. 
   : 참고로 시금치 한줌에는 일일 마그네슘 섭취량이 30% 정도를 함유. 

- 비타민A가 풍부하여 눈 시력을 보호하고, 피부 건강을 촉진한다
- 어린이 성장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 시금치 과다 섭취하면 안좋은 이유

- 시금치 부작용에는 칼슘 흡수를 방해가 있습니다. 시금치에는 옥살산이라 불리는 수산 성분이 있다.
- 옥살산과 칼슘이 만나면 수산칼슘이 되는데, 이 성분은 칼슘 흡수를 방해한다. 

- 수산칼슘을 장기간 섭취하게 될 경우 신장이나 방광에 결석이 생길 수 있다.
   : 참고로 요로결석의 70%는 수산칼슘 결석이라고 합니다.  
     ==> 따라서 멸치, 두부와 같은 칼슘이 많은 음식과 시금치는 함께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

시금치는 분명히 몸에 좋은 채소이긴 하지만, 
항상 음식은 본인의 상태와 체질에 맞게 먹는 것이 중요하며,
위의 내용 잘 참고하셔서 건강에 도움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 음식궁합

*시금치와 좋은 궁합 (조개·달걀·참깨·사과)

- 시금치도 철분이 풍부하지만, 조개 역시 철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둘을 함께 먹으면 조혈작용이 극대화된다.
- 시금치와 조개를 넣어 된장국을 끓여 먹으면 빈혈 예방에 좋다. 
- 시금치는 달걀과도 잘 어울리는데, 달걀이 헤모글로빈 합성에 필요한 단백질을 보충해주기 때문이다. 

- 시금치 효능을 높이기 위해서 시금치와 된장을 함께 먹으면 비타민A를 흡수를 촉진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 소고기의 철분, 인, 우황의 산성 성분과 시금치의 알카리성 성분이 잘 어울린다.
- 깨의 단백질 지방이 시금치의 부족한 부분을 조화롭게 해준다.

그런데 시금치에는 옥살산 성분이 있어 과도하게 섭취할 시 체내 결석 생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때 참깨와 함께 먹으면, 참깨가 시금치의 옥살산 성분을 무력화한다. 참깨에는 필수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돼 있는데, 아미노산의 하나인 리진은 결석 방지 역할을 한다.



*시금치와 나쁜 궁합 (두부·멸치·근대)

- 시금치에는 옥살산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것이 두부에 다량 함유된 칼슘 성분과 결합하면 불용성 옥살산칼슘을 생성하게 된다. 
  : 인체의 칼슘 흡수를 줄이고, 결석증을 유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체내 칼슘 흡수를 줄이고, 결석증을 유발할 수 있다. 

- 멸치도 마찬가지다. 
- 시금치는 근대와도 맞지 않는다. 
   : 근대도 시금치와 마찬가지로 옥살산 성분이 많이 함유돼 있기 때문이다.



● 요리활용(쓰임새)

- 주로 나물 무침, 국거리로 먹으며 최근 웰빙, 다이어트 식품으로 샌드위치와 샐러드에도 활용된다.
- 시금치 된장국, 쌈 채소, 시금치 겉절이, 시금치 샐러드, 시금치나물, 잡채의 부재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