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의 집합체 폐를 통하여 산소가 혈액 속으로 들어간다.
코의 깊숙한 속은 우리들이 상상하는 것보다 넓은 구조로 되어 있고, 구멍 속의 동국 모양으로 된 부분은 세로로 2개로 나뉘어 있으며, 게다가 각각의 방어벽에 상하로 3개의 선반 같은 것이 붙어 있다.
콧구멍으로 들이 마신 공기는 기관을 거쳐 폐로 들어가서 그곳에서 혈액으로 들어가 산소가 섭취된다.
그러나 코나 기관은 단순한 공기의 통로가 아니고, 가슴 속에 자리 잡고 있는 그다지 큰 기관이라고도 할 수 없는 폐 속에서 온 몰에 필요한 산소가 흡수된다고 하는 것도 생각해 보면 이상한 이야기이다.
찬 공기가 코로 들어오는 곳의 선반에 있는 가는 혈관이 굵고 넓게, 선반 그 자체가 부풀어 오름으로써 공기의 유입량이 줄어듬과 동시에 체내로부터 따듯한 혈액이 다량으로 흘러 들어와서 들어온 공기를 따뜻하게 하는 것이다. 동시에 콧 속에 있어서는 하루에 평균 1리터의 수분이 방출되고 있어 들이마셔진 공기에 습도를 주고 있다.
먼지 필터로서의 작용으로 눈을 돌리면 우선 콧털이 큰 먼지를 막아 준다.
게다가 콧털뿐만이 아니라, 폐포에 이를 때까지의 기관에는 점막 세포가 깔려 있는 점액은 짧은 주기로 물결치듯이 움직이고 있는 점막 세포의 섬모운동으로 인해 항상 콧구멍이나 목구멍 쪽으로 밀리고 있다.
이렇게 해서 때때로 콧물을 풀거나, 헛기침의 상태로 점액과 함께 먼지는 체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폐라고 불리는 기관은 균질의 세포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폐 속에 들어와 있는 기관지 말단(폐포관)의 끝에는 한 입자가 0.1미리 정도의 미세한 폐포로 불리는 버폼과 같은 조직이 많이 군집하듯이 붙어 있고, 그 하나하나의 세포 주변에는 거미줄과 같이 가는 혈관이 둘러쳐져 있다. 이와 같은 가는 조직의 집합체가 폐인 것이다.
폐포 하나하나는 매우 작은 것이지만, 그 수는 7억 5천만 개를 웃돌고, 그것을 모두 넓게 펴보면 체표 전체의 약 25배인 56제곱미터나 된다. 그 주변의 혈관 굵기는 실 한 개 보다도 가늘어 직경 8미크론의 적혈구조차 한 줄이 되지 않으면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이다.
온몸의 혈액은 심장의 작용으로 인해 2~3분마다 이 세포주변의 좁은 혈관을 통과하게 된다.
여기에서 폐동맥으로 인해 운반되어 온 체내의 이산화탄소와 결합한 적혈구 중의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접촉함으로써 이산화탄소를 버리고 산소와 결합한다고 하는 가스 교환을 해서 폐정맥으로 인해 다시 체순환으로 되돌아 가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