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력 강화와 피로 해소 및 암 발생을 억제하는 마늘
마늘(garlic)은 중앙아시아가 원산인 백합과(白合科) 중 가장 매운 식물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 극동(極東)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마늘의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져 웰빙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2002년 미국 『타임(Time)』지는 마늘을 세계 10대 건강식품으로 선정하였으며,
마늘은 그 자체로 먹어도 좋고 다양한 음식의 재료로 사용해도 좋은 기능성 식품이라 예찬하였다.
마늘은 각종 양념에 빠져서는 안 될 중요한 식재료이다.
알싸한 맛과 향뿐 아니라 ‘알리신’을 포함해 여러 유용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항암효과, 피로 해소, 면역력 강화 등에 도움을 준다.
◆ 마늘의 효능 및 영양성분
마늘이 정력이나 원기를 보하는 강장제(强壯劑)라는 것은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알려져 있다.
강력한 살균작용을 하는 알리신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면역력 강화.
체내 비타민 B6와 결합하여 췌장 세포의 기능 및 인슐린의 분비를 활성화해 혈당을 떨어뜨리는 데 도움을 준다.
마늘의 주성분은 탄수화물 20%, 단백질 3.3%, 지방 0.4%, 섬유질 0.92%, 회분 13.4%을 포함.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글루탐산(glutamic acid), 칼슘, 철, 인, 아연, 셀레늄, 알리신 등 다양한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다.
마늘에 함유된 알리신이 신체 내의 유해 물질인 활성산소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다.
마늘 속에 들어 있는 알리신은 비타민 B1의 흡수를 돕고 피로 회복에도 도움을 준다.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주며, 화학적 요인으로 생기는 암 발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다량 함유된 유기성 게르마늄과 셀레늄 성분 역시 암세포의 억제와 예방에 도움을 준다.
알리신 성분이 체내 비타민 B6와 결합하여 췌장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
인슐린의 분비를 원활하게 해줘 혈당을 떨어뜨리는 데 도움을 준다.
피로물질인 젖산의 생성을 억제해 운동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피로 해소에 도움을 준다.
근육 통증을 감소시키고 크는 데 도움이 되는 비타민 B1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혈전을 막고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 준다.
나트륨 배출 효과가 있는 칼륨이 풍부해 혈압 안정에도 도움을 준다.
스코르디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정력과 원기를 보강하는 효능이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마늘을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매우며 독이 있다.
종기를 제거하고 풍습과 나쁜 기운을 없앤다.
냉과 풍증을 제거하고 비장을 튼튼하게 하며 위를 따뜻하게 한다.
토하고 설사하면서 근육이 뒤틀리는 것을 치료한다.
전염병을 예방하고 해충을 죽인다고 설명하고 있다.
사상의학(四象醫學)에 의하면,
마늘은 차가운 몸을 따뜻하게 하여 말초혈관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한다.
손발이 차고 아랫배가 냉한 소음인(少陰人)이 먹으면 소화기능과 순환기능이 좋아진다.
그러나 열이 많은 소양인(少陽人)은 마늘을 과다 섭취하면 병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맛이나 향(香)이 독한 식품은 대개 피부나 위장에 자극적이다.
마늘도 독한 식품이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특히 공복(空腹) 상태에서 마늘을 복용하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 마늘 음식궁합
마늘은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요리에 쓰인다.
마늘의 강한 향이 비린내를 없애고 음식의 맛을 좋게 한다.
식욕 증진 효과가 있기 때문에 향신료(양념)로도 사랑받는다.
우유, 인삼, 생강, 꿀과 서로 보완 역할을 한다.
달걀을 첨가하면 포화지방을 잡아준다.
핵산이 풍부하여 천연조미료로도 좋다.
◆ 마늘의 활용(쓰임새)
통마늘은 육수를 내거나 구워 먹는다.
장아찌를 만들 때 사용한다.
편으로 썬 마늘은 구워 먹거나 볶음요리의 재료로 활용한다.
다진 마늘은 찌개나 국에 넣어 감칠맛을 살린다.
미나리 마늘생채, 콩나물 마늘냉채, 구운마늘 샐러드
황태 마늘볶음, 멸치 마늘볶음, 닭 날개 마늘볶음
댓글